맨위로가기

박춘식 (1921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춘식은 1921년 함경북도 명천군 출생으로, 일제강점기 만주국 육군훈련학교를 졸업하고 간도특설대에서 복무했다. 광복 후 대한민국 육군 장교가 되어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제9사단 작전참모, 제1연대장, 제37사단장, 제5사단장, 제12사단장을 역임했다. 5·16 군사정변 당시 12사단을 이끌고 참여하여 춘천을 장악했으며, 군사정변 이후 교통부 장관을 지냈다. 1968년 소장으로 예편 후 삼화축산 사장을 역임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교통부 장관 - 이희성 (1924년)
    이희성(1924년~2022년)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무직공무원으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군수사령부 정보참모, 사단장, 국방부 기획국장, 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중앙정보부 부장서리,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 등을 지냈으며, 12·12 군사반란 당시 신군부 세력에 협조하여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는 등 신군부 집권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대한민국의 교통부 장관 - 허정
    허정은 일제강점기 임시정부에서 활동하고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사회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4·19 혁명 후 대통령 권한대행 및 국무총리를 지내며 제2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 함양 박씨 - 박동균 (1919년)
    박동균(1919년)은 일제강점기 만주군 군의관으로 복무하고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참여하여 육군의무감, 육군군의학교 초대 교장을 역임했으며, 간호장교 제도 창설에 기여했으나 2008년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 함양 박씨 - 박열
    박열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무정부주의자이자 독립운동가로, 일본에서 가네코 후미코와 함께 천황 암살을 기도하다 체포되어 '박열 사건'으로 알려졌으며, 해방 후 재일 조선인 단체 활동과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북한에서 생을 마감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 만주국의 군인 - 윤태일 (1918년)
    윤태일은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기업인이며, 박정희 정권에서 서울특별시장과 대한주택공사 총재, 제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만주국의 군인 - 정일권
    정일권은 러시아 출생으로 만주군 장교, 육군 참모총장,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하며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친일 행적과 정인숙 사건 관련 의혹을 받았다.
박춘식 (1921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박춘식
한자 표기朴春植
로마자 표기Bak Chun-sik
운학(雲鶴)
출생1921년 3월 20일
출생지함경북도 명천군
사망1979년 2월 10일 ()
사망지서울특별시
본관함양(咸陽)
묘소국립서울현충원 장군 제1묘역 92호
군 경력
소속
복무 기간1938-1945 (만주국군)
1948-1968 (한국 육군)
최종 계급 (만주국군)중위
최종 계급 (대한민국 육군)소장
근무육군 제3군단
지휘육군 제3군단 부군단장
주요 참전 전투/전쟁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기타 이력
기타 이력교통부 장관
친일반민족행위 관련
친일반민족행위 사전 등재 여부에 등재

2. 생애

박춘식은 1921년 3월 함경북도 명천군에서 태어났다. 일제 강점기에 만주국 육군훈련학교를 졸업하고 간도특설대에서 복무하였으며, 광복 당시 만주군 중위였다.

광복 후에는 남한으로 내려와 대한민국 육군 장교가 되었다. 육군사관학교 5기 졸업생으로 박정희의 제자였으며, 한국 전쟁 당시 박정희가 9사단 참모장으로 있을 때 작전참모로 함께 근무하며 박정희 인맥에 들어갔다.[12]

1961년 박정희5·16 군사정변을 일으켰을 때 12사단을 이끌고 춘천을 점령하며 정변에 가담했다.[13] 군정이 실시되는 동안 교통부 장관을 지냈다.

1968년 육군 소장으로 예편한 후에는 삼화축산 사장을 지내며 기업인으로 활동했다. 2008년에는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선정되었다.[10]

2. 1. 일제 강점기 활동

일제 강점기 말기에 만주국의 육군훈련학교를 제7기로 졸업하고 간도특설대에서 복무하였다. 1945년 태평양 전쟁 종전 시점에는 만주군 중위였다.[1] 1938년 북간도 용정의 대성중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12월 간도특설대 1기생으로 입대하여 보병 제1연대장으로 복무하였다. 1944년 장교 후보로 선발되어 육군훈련학교(중앙육군훈련처의 후신)에서 단기 교육을 받고 1945년 동교 제7기를 졸업하였다. 간도특설대에 복귀하여 기벽연에 소위 후보로 복무하였다.

2. 2. 대한민국 국군 장교 복무

태평양 전쟁이 종전되자 미군정 지역으로 남하하여 대한민국 육군 장교가 되었다. 육군사관학교 제5기 졸업생으로 박정희의 제자이기도 하며, 한국 전쟁 중 박정희가 9사단 참모장으로 있을 때 작전참모로 근무하면서 인간적인 감화를 받아 박정희 인맥에 포함되었다.[12]

1955년육군대학을 졸업하고 37사단장을 거쳐 12사단장에 임명되었다. 박정희가 1961년5·16 군사정변을 일으켰을 때 12사단을 이끌고 참여했다. 춘천 근교에 주둔해 있던 12사단은 춘천을 점령했다.[13] 군사정변이 성공하여 군정이 실시되는 동안 교통부 장관으로 등용되었다.

군정이 끝난 뒤 1963년 6관구 사령관, 1966년 육군본부 관리참모부장, 1967년 육군 제3군단 부군단장을 지냈고, 1968년 육군 소장으로 예편했다.

1948년 4월, 경비사관학교 제5기를 졸업하고 장교로 임관(군번 10836번)했다.

한국 전쟁에서는 제9사단 작전참모로 박정희 참모장을 보좌했다.

1951년 11월 25일, 제1연대장(중령)이 되었다.

1953년 4월 26일, 육군대학교에 입교했다.

1955년 육군대학교를 졸업했다.

1955년 8월 13일, 제3관구사령부 참모장(준장)이 되었다.[2]

1957년 국방대학원을 수료했다.

1958년 8월 14일, 제37사단장이 되었다.[3]

1959년 6월, 제5사단장이 되었다.[4]

1961년 제12사단장이 되었다. 5·16 군사정변에서는 병력을 이끌고 강원도 춘천을 장악했다.

1963년 2월, 제2군 부사령관이 되었다.[6]

1963년 7월, 제6관구 사령관이 되었다.[7]

1966년, 육군본부 관리참모부장이 되었다.

1967년 1월 7일, 제3군단장이 되었다.[8] 같은 해 12월 14일, 군단장직에서 해임되었다.[9]

1968년, 소장으로 예편했다.

2. 3. 5.16 군사정변 참여와 군사정권 활동

박정희1961년5·16 군사정변을 일으켰을 때 12사단을 이끌고 참여했다. 춘천 근교에 주둔해 있던 12사단은 춘천을 점령했다.[13] 군사정변이 성공하여 군정이 실시되는 동안 교통부 장관으로 등용되었다.

군정이 끝난 뒤 1963년 6관구 사령관,[7] 1966년 육군본부 관리참모부장, 1967년 육군 제3군단 부군단장을 지냈고,[8] 1968년 육군 소장으로 예편했다. 이후 삼화축산 사장을 역임하며 기업인으로 활동했다.

2. 4. 군사정권 이후 활동

1963년 6관구 사령관, 1966년 육군본부 관리참모부장을 역임했다. 1967년 육군 제3군단 부군단장을 지냈으며, 1968년 육군 소장으로 예편했다.[12] 이후 삼화축산 사장을 역임하며 기업인으로 활동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선정되었다.[10]

3. 친일 논란

일제 강점기 말기에 만주국 육군훈련학교를 제7기로 졸업하고 간도특설대에서 복무하였다. 1945년 태평양 전쟁 종전 시점에는 만주군 중위였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선정되었다.

4. 학력


  • 1941년 만주국 육군훈련학교 7기 졸업
  • 1948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5기 졸업
  • 1949년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 1957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졸업

5. 상훈

国勢調査記念章|국세조사기념장일본어 (1941년 7월)

勲八位柱国章|훈팔위주국장일본어

참조

[1] 뉴스 (3624)5기생과 「5·16」-제79화 육사졸업생들(77) https://news.joins.c[...] 1983-01-31
[2] 뉴스 二管區 參謀長 更迭 http://www.busan.com[...] 1955-08-14
[3] 뉴스 師團長級 異動發令 http://www.busan.com[...] 1958-08-16
[4] 뉴스 將星級 15名 異動 http://www.busan.com[...] 1959-06-02
[5] 뉴스 交通部長官에朴春植小將 http://www.busan.com[...] 1961-08-17
[6] 뉴스 박춘식소장 기용 2군부사령관에 http://www.busan.com[...] 1963-02-20
[7] 뉴스 박춘식초장임명 http://www.busan.com[...] 1963-07-11
[8] 뉴스 육사 교장에 이세호 소장 https://news.joins.c[...] 1967-01-07
[9] 뉴스 두 군단장 경질 https://news.joins.c[...] 1967-12-14
[10] 뉴스 [명단] 친일인명사전 수록 대상자 4776명 http://www.ohmynews.[...] 2008-04-29
[11] 웹인용 박춘식 http://people.naver.[...] 네이버 인물검색 2008-07-16
[12] 서적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3 조선일보사 1998-10-01
[13] 서적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4 조선일보사 1999-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